논문리뷰/Etc

[논문리뷰] Attention is All you need

인공지능스타터 2022. 2. 20. 20:05

Transformer는 최근 들어 자연어 처리와 비전 분야 모두에서 월등한 성능을 보이면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Transformer를 처음으로 제안한 논문이 바로 "Attention is all you need"이 되시겠다 ㅎㅎ. 자연어 처리 수업을 들었을 때 처음 접했던 논문이지만 비전 쪽에서도 transformer를 많이 다루고, 필자도 연구에서 관련 모델을 사용해야 해서 리뷰를 한 번 해보려고한다.

 

https://arxiv.org/abs/1706.03762

 

Attention Is All You Need

The dominant sequence transduction models are based on complex recurrent or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in an encoder-decoder configuration. The best performing models also connect the encoder and decoder through an attention mechanism. We propose a new

arxiv.org


1. Sequence Modeling

turkish to english translation

출처: https://opennmt.net/

 

Sequence modeling어떠한 Sequence를 가지는 데이터로부터 또 다른 Sequence를 가지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task이다. 대표적인 예로는 machine translation, chatbot등이 있다. 위 이미지는 터키어로 쓰인 문장을 sequence model에 입력하여 영어로 번역된 문장이 나오도록 하는 예제이다.

 

출처: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Recurrent_neural_network_unfold.svg

 

이러한 Sequence modeling에는 대부분 Recurrent neural network, LSTM, GRU가 주축으로 사용되었는데 몇 몇 문제들이 발생하였다. 위와 같은 Recurrent model들은 모든 데이터를 한꺼번에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sequence position t에 따라 순차적으로 입력에 넣어주어야 한다. 예를 들어 i am ironman을 Recurrent model에 넣을 때, 먼저 i를 network에 넣고 산출되는 hidden state $h_t$를 다음 position인 am에 대한 hidden state $h_{t+1}$를 계산할 때 사용한다. 이러한 한계는 긴 sequence 길이를 가지는 데이터를 처리해야 할 때, memory와 computation에서 많은 부담이 생기게 된다.

 

Attention mechanism

bahadanau attention

 

attention이라는 mechanism은 이 논문에서 처음 나온 것이 아니다. 이미 Sequence modeling에서 널리 사용되고 좋은 성능을 보이는 기법이었다. attention은 input 또는 output 데이터에서 sequence distance에 무관하게 서로 간의 dependencies를 모델링 한다. 예를 들어, 위 이미지는 franch를 english로 번역하는 sequence modeling에서 attention을 사용할 때 그 correlation matrix를 나타낸다.

 

논문에서 제안한 "Transformer"는 이러한 Attention mechanism을 전적으로 사용하여, 아예 모든 Network Architecture를 Attention"만"을 이용해 구축하고 이의 효율성과 엄청난 성능을 실험을 통해 보여준다.

 

Sequence-to-Sequence

출처: https://github.com/pranoyr/seq-to-seq

 

논문에는 나와 있지 않지만 Transformer의 장점을 소개할 때 Sequnce-to-sequence method가 종종 등장한다. 그 이유를 간단히 살펴보자. 먼저 Sequence-to-sequence는 위와 같은 architecture를 가지고 있다.

 

이전에 설명했듯이 Recurrent model은 Sequence순으로 데이터가 입력되는데, 이전 데이터의 hidden state $h_t$가 다음 데이터의 hidden state $h_{t+1}$를 구할 때 사용된다. 즉, 어떠한 시점 t에서 구한 hidden state $h_t$는 그 전 sequence들($1, 2, \dots, t-1$)의 정보를 함축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위 이미지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tomorrow를 입력으로 받아 출력되는 encoder의 마지막 hidden state는 그 이전 단어들(are, you, free)에 대한 정보까지, 즉 문장의 모든 단어들에 대한 정보를 함축하고 있는 것이다.

 

Sequence-to-sequence 모델은 이 encoder의 최종 output을 일종의 embedded vector로써 사용하여 Decoder에 넣어주게 되는데, memory와 computation 때문에 embedded vector의 maximum length를 제한해야한다. 긴 sequence 데이터를 처리해야할 때, 제한된 크기의 vector로 모든 정보를 담아내야하기 때문에 정보의 손실이 커지고 이에 따라 성능의 병목현상이 일어난다.

 

이러한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서 encoder의 모든 state를 decoder에 참조시키거나 attention을 적용하는 등의 여러시도가 있었는데, 그 중에 가장 efficeint하고 강력한 방법이 바로 이 transformer라고 생각하면 된다. 

 

2. Model Architecture

 

좋은 성능을 보이는 Neural sequence transduction model들은 대부분 encoder-decoder 구조를 가지고 있다. transformer 또한 이 구조를 따라가고 있고, 그 내부는 self-attention과 fully connected layer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2.1 Attention

 

본격적으로 Attention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알아보자.

 

Scaled Dot-Product Attention

먼저 input으로 Query(Q), Key(K), Value(V) 총 3개가 들어온다. 여기서 Query는 물어보는 주체, Key는 반대로 Query에 의해 물어봄을 당하는 주체, Values는 데이터의 값들을 의미한다. 이렇게만 들으면 이해가 어려울 수 있으니 먼저 계산식을 살펴본 후에 예를 들어 설명하겠다.

 

$$Attention(Q, K, V) = softmax(\sqrt{QK^T}{\sqrt{d_k}}V$$

식을 하나씩 살펴보자. 여기서 Query q는 어떤 단어를 나타내는 vector이고, K는 문장의 모든 단어들에 대한 vector들을 stack해놓은 matrix이다.

**Q와 K는 $d_k$ dimensions, V는 $d_v$ dimensions을 가진다. 논문에서는 $d_k$=$d_v$로 두고 사용한다.

예를 들어, AI is awesome이라는 문장에 attention을 적용해보자. 위에서 Query는 awesome, 그리고 key는 모든 단어들의 stacked matrix이다. 여기서 $QK^T$는 한 단어(q:awesome)와 모든 단어(K: AI, is, awesome)들의dot product를 해줌으로써 어떠한 relation vector를 만들어낸다. 이를 모든 단어를 query로 사용할 때 까지 반복한다. 

**실제로는, query를 key와 같이 stack해서 matrix와 matrix간 dot product를 통해서 relation matrix를 만든다.

 

attention functions으로는 additive attention과 dot-product attention 두가지가 흔히 쓰인다. 두 방법은 이론적인 complexity는 비슷하지만, dot-product 방식이 더 빠르고 공간효율적이라서 이를 채택했다고 한다. 여기서 기존 방식과 다르게 $\frac{1}{\sqrt{d_k}}$로 scaling을 해주는데, 이를 해주지 않으면 additive attention보다 성능이 대폭 떨어진다고 한다. 논문에서는 이를 softmax가 0 근처에서는 gradient가 높고, large positive and large negative value들에 대해서는 매우 낮은 gradient를 가지기 때문에 학습이 잘 되지 않는 문제가 일어나고, scaling을 통해 모든 값들이 0 근처에 오도록 만들어줌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다 말한다.

 

마지막으로 softmax를 통해서 Query 단어가 모든 단어들과 어느정도의 correlation이 있는지를 확률 분포 형태로 만들고, 이를 value matrix와 dot product를 해줌으로써 기존 vector에 Query와 Key간의 correlation 정보를 더한 vector를 만든다.

 

**나중에 또 설명하겠지만 encoder의 경우는 Query, Key, Value가 모두 encoder의 입력 단어들이고, Decoder의 "encoder-decoder attention"의 경우는 Key와 value는 encoder의 output이 되고, query가 decoder의 입력 단어들이 된다.

 

옵션으로 Mask layer가 있는데, 이는 참조하고 싶지 않은 correlation을 masking할 때 사용된다. 

 

Multi-Head Attention

하나의 attention function을 사용하는 것보다, queries와 keys, values를 linear projection을 통해 중간에 매핑해줘서 각 다른 값들을 입력으로 하는, 여러 개의 attention function들을 만드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고 한다. 나중에 function의 출력들은 concatenate 되고 다시 linear function을 통해 매핑 한다. 이러한 기법은 CNN이 여러개의 필터를 통해서 convolution output을 구하는 것과 비슷한 효과를 보일 것이다.

 

$$MultiHead(Q, K, V) = Concat(head_1, \dots, head_h)W^O$$

$$where \ \ head_i = Attention(QW_i^Q, KW^K_i, VW^V_i)$$

**$W_i^Q \in \mathbb{R}^{d_{model} \times d_k}, \ W_i^K \in \mathbb{R}^{d_{model} \times d_k}, \ W_i^V \in \mathbb{R}^{d_{model} \times d_v}$

 

 

또한, header가 8개라고 했을 때 Query, Key, value의 dimension은 $d_k=d_v=d_{model}/h=64$로 header의 개수로 나누어주어 dimension이 줄어들기 때문에 single-head attention을 했을 때와 비교해서 비슷한 computational cost를 가진다.

 

Different Use for multi-head attention

아까 잠깐 설명했지만, 논문에서는 multi-head attention을 3종류로 나누어서 사용한다.

  1. "self-attention in encoder": encoder에서 사용되는 self-attention으로 queries, keys, values 모두 encoder로부터 가져온다. encoder의 각 position은 그 전 layer의 모든 positions들을 참조하고, 이는 해당 position과 모든 position간의 correlation information을 더해주게 된다. 간단하게 설명해서 어떤 한 단어(awesome)이 모든 단어(AI, is, awesome)들 중 어떤 단어들과 correlation이 높고, 또 어떤 단어와는 낮은지를 배우게 된다.
  2. "self-attention in decoder": 전체적인 과정과 목표는 encoder의 self-attention과 같다. 하지만 decoder의 경우, sequence model의 auto-regressive property를 보존해야하기 때문에 masking vector를 사용하여 해당 position 이전의 벡터들만을 참조한다(이후에 나올 단어들을 참조하여 예측하는 것은 일종의 치팅). 
  3. "encoder-decoder attention": decoder에서 self-attention 다음으로 사용되는 layer이다. queries는 이전 decoder layer에서 가져오고, keys와 values는 encoder의 output에서 가져온다. 이는 decoder의 모든 position의 vector들로 encoder의 모든 position 값들을 참조함으로써 decoder의 sequence vector들이 encoder의 sequence vector들과 어떠한 correlation을 가지는지를 학습한다.

 

2.2 Position-wise Feed-Forward Networks

attention layer과 함께 fully connected feed-forward network가 사용된다. 

$$FFN(x) = max(0, xW_1 + b_1)W_2 + b_2$$

**input과 output의 차원은 512, inner-layer의 차원은 2048

 

2.3 Embeddings and Softmax

다른 sequence transduction 모델과 마찬가지로, input과 ouput token을 embedding layer를 거쳐서 사용한다. 이렇게 생성된 embedded vector는 semantic한 특성을 잘 나타내게 된다. 또한, 논문에서는 input embedding 과 output embedding에서 weight matrix를 서로 share하여 사용한다고 한다. embedding이라는 것 자체가 어떠한 단어(token)을 잘 표현할 수 있는 vector를 만드는 것이 목표이므로, input과 output이 어떠한 correlation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weight를 sharing하는 것이 어찌보면 직관적이라고 생각한다.

 

2.4 Positional Encoding

어찌보면 이 논문에서 핵심이라고도 할 수 있는 기법이다. Transformer는 Recurrent model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오직 Attention mechanism만을 사용하여 만들기 때문에 Sequence 정보를 담아낼 수가 없다. 따라서 별도로 이러한 sequence 정보를 데이터에 추가해주어야 하는데 이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positional encoding"이다.

 

이러한 positional encoding으로 선택할 수 있는 방식은 다양한데, 논문에서는 sine과 cosine 함수를 사용한다.

$$PE_{(pos, 2i)} = sin(pos / 10000^{2i / d_{model}})$$

$$PE_{(pos, 2i+1)} = cos(pos / 10000^{2i / d_{model}})$$

 

여기서 pos는 position, i는 dimension이다. 논문에서 이 함수를 사용한 이유는 어떠한 고정된 offset k에 대해서 $PE_{pos+k}$를 $PE_{pos}$의 linear function으로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모델이 쉽게 상대적인 위치를 참조할 수 있을 것이라 가정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또한 이를 학습할 수 있는 layer로 만들어서도 실험을 해보았는데, 결과는 별반 다를 바 없다고 한다. 

 

positional encoding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은 다음 블로그에서 잘 설명해주고 있다!!

https://skyjwoo.tistory.com/entry/positional-encoding%EC%9D%B4%EB%9E%80-%EB%AC%B4%EC%97%87%EC%9D%B8%EA%B0%80

 

positional encoding이란 무엇인가

Transformer model을 살펴보면, positional encoding이 적용된다. 다음 그림은 transformer 모델에 대한 구조도 인데, positional encoding을 찾아볼 수 있다. 출처는 https://www.tensorflow.org/tutorials/text/..

skyjwoo.tistory.com

 

3. Why Self-Attention

왜 self-attention이 RNN이나 Convolution보다 좋을까? 논문에서는 이를 3가지 양상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1) the total computational complexity per layer

위 표에서 self-attention과 RNN을 비교해보면, sequence length n이 representation dimensionality d보다 작아야지 complexity가 Self-attention이 RNN보다 더 낮아지게 된다. 보통 n이 d보다 작은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self-attention이 complexity가 더 작다고 말할 수 있다. 

 

추가로 computational performance를 향상시키기 위해, self-attention을 오직 r 크기의 neighborhood만 고려하게 만듦으로써 더욱 complexity를 떨어트리게 만들 수 있다.

 

2) the amount of computation that can be parallelized

이전에 설명했듯이, RNN은 input을 순차적으로 입력받아 총 n번 RNN cell을 거치게 되고, self-attention layer는 input의 모든 position 값들을 연결하여 한번에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Sequential operations이 O(1)을 가지고, 이는 parallel system에서 유리하게 사용된다.

 

3) the path length between long-range dependencies in the network

long-range dependencies란, 말그대로 position상 멀리 떨어져있는 단어들 간의 dependency를 말하고 이를 학습하는 것은 sequence transduction task에서 key challenge에 해당된다. 이러한 long-dependencey를 잘 배우기 위함에 있어서 length of paths가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여기서 length of paths란 forward와 backward signals간의 길이를 말하는데,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보자. 만약 i love you라는 문장을 한국어인 난 너를 사랑해로 translation하는 모델을 학습하고자 한다. 이때, path lengths는 한국어 token들과 영어 token들 간의 길이를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maximum path length는 "i"와 "사랑해" 사이의 길이인 6(encoder sequence length + decoder sequence length)이 된다.

 

이와 관련된 여러 실험에 따르면, input과 output sequence 사이에 조합 간 paths가 짧을 수록 long-range dependencies를 더 잘 학습할 수 있다고 한다. 따라서 논문에서는 이러한 maximum path lengths도 비교하여 self-attention이 좋은 이유를 설명한다.

 

self-attention은 각 token들을 모든 token들과 참조하여 그 correlation information을 구해서 더해주기 때문에(심지어 encoder-decoder끼리도), maximum path length를 O(1)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long-range dependencies를 더 쉽게 학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4. Experiments

Training environment와 기타 사항은 논문을 참조하길 바란다. 이 글에서는 간단하게 어떠한 실험을 했고 결과는 무엇인지만 살펴보려고 한다. 

 

4.1 Machine Translation

먼저 English-to-German translation task에 대해서 다른 모델들과 성능을 비교한 실험이다. BLEU는 기계 번역 결과와 사람이 직접 번역한 결과가 얼마나 유사한지 비교하여 번역에 대한 성능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위 표를 보면 Transformer가 다른 모델들에 비해서 높은 성능을 가지면서 training cost 또한 낮은 것을 볼 수 있다.

 

4.2 Model Variation

모델의 여러 조건들을 변경해가면서 성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보는 실험이다.

결과를 간단히 살펴보면, (B)key size $d_k$를 너무 줄이면 quality가 안좋아지고 (C) 큰 모델이 더 성능이 좋으며, (D) drop-out이 오버피팅을 피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4.3 English Constituency Parsing

Transformer가 다른 task에서도 잘 동작하는지를 보기 위해서 English Constituency Parsing task에도 적용해본 논문이다. Constituency Parsing이란 것은 어떠한 단어가 문법적으로 어떠한 것에 속하는지 분류하는 task이다. 예를 들어, AI is genius에 engislh constituency parsing을 하면 AI는 noun, is는 Verb, genius는 adjective로 parsing될 것이다.

 

결과를 보면 transformer를 해당 task에 맞게 tuning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좋은 성능을 보여준다.

 


Transformer는 근래 빠르게 발전하고 많은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는 method라서 한번 제대로 정리해두고 싶었다. transformer가 좋은 이유는 token을 하나씩 보면서 auto-regressive하게 학습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 문장을 한번에 참조하여 학습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sequence 정보는 따로 positional encoding으로...이러한 아이디어를 떠올리는 당신들은 도대체...